반응형
혈액검사 결과지를 보면 ‘알부민(Albumin)’과 ‘프리알부민(Prealbumin)’이라는 단어가 함께 등장합니다.
둘 다 단백질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지만, 기능과 해석법에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알부민과 프리알부민의 차이점, 각 수치가 의미하는 건강 상태, 그리고 정확한 검사를 위한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✅ 알부민(Albumin)이란?
- 간에서 생성되는 주요 혈청 단백질로, 혈장 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.
- 체내 삼투압 유지, 약물 운반, 염증 조절에 관여합니다.
- 영양 상태, 간 기능, 신장 기능 이상 시 수치 변화가 나타납니다.
정상 수치: 3.5 ~ 5.2 g/dL
✅ 프리알부민(Prealbumin)이란?
- 알부민보다 수명이 짧고 변화가 빠른 단백질입니다.
- 주로 단기 영양 상태 평가, 특히 영양 결핍 조기 진단에 사용됩니다.
- 이름은 프리(pre)알부민이지만, 알부민의 전구체가 아닙니다.
정상 수치: 16 ~ 35 mg/dL
(검사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 있음)
🔍 알부민 vs 프리알부민: 주요 차이점
항목 | 알부민 | 프리알부민 |
생성기관 | 간 | 간 |
반감기 | 약 20일 | 약 2~3일 |
사용 목적 | 만성 영양 상태, 간/신장 기능 평가 | 급성 영양 결핍 평가, 단기 영양 상태 |
민감도 | 낮음 (느린 변화) | 높음 (빠른 반응) |
진단 용도 | 간경변, 신증후군 등 | 영양결핍, 급성 질환 모니터링 |
반응형
❗ 검사 시 주의사항
- 공복 상태 유지 (최소 8시간)
음식 섭취가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식 후 검사받아야 합니다. - 약물 복용 여부 체크
스테로이드, 갑상선호르몬 등 특정 약물은 프리알부민 수치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. - 수분 상태 확인
탈수나 과수분 상태도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- 간 기능, 총단백 등 함께 확인
단백질 수치는 다양한 수치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정확합니다.
✅ 이런 경우 프리알부민 검사 권장
- 장기 입원 환자 영양 상태 추적
- 체중 급감, 식욕 저하 등 영양 결핍 의심 시
- 암환자, 수술 전후 환자 모니터링
- 노인 요양병원 환자 상태 점검
📌 정리: 두 수치를 함께 보면 정확한 건강 지표가 된다!
- 알부민 수치는 장기적인 건강 상태와 간 기능을,
- 프리알부민 수치는 최근의 영양 상태를 알려줍니다.
정기적인 건강검진과 함께, 단백질 수치 변화를 예의주시하면 만성 질환 예방과 회복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.
반응형